Live
안녕하세요. 세상에 없던 문화예술 플랫폼, 아르떼입니다.
안녕하세요. 세상에 없던 문화예술 플랫폼, 아르떼입니다.

신라 공주 무덤서 나온 '비단벌레 장식'의 비밀 밝혀졌다

2023.07.04
1.6k0
쪽샘 44호분 발굴조사 성과발표회
5세기 후반 신라 공주 무덤으로 추정
'비단벌레 꽃잎장식 직물 말다래' 처음 발견돼
경상북도 경주 황오동 쪽샘 44호분 발굴 현장 전경. 안시욱 기자.

경주 황오동 쪽샘지구에는 국내 최대 규모의 신라고분군이 자리잡고 있다. 4~6세기 신라 왕족과 귀족의 무덤들이 대량으로 확인되면서 2007년부터 본격적인 조사가 진행됐다. 1000기의 봉분 무덤 가운데서도 세간의 집중을 사로잡은 건 쪽샘 44호 무덤. 약 1500년 전의 신라 공주가 잠들었으리라 추정되는 곳이다.

쪽샘 44호분 피장자 상상도. 문화재청 제공.

2014년 5월부터 이뤄진 44호 무덤의 정밀 발굴 조사는 9년간의 일정으로 지난달 마무리됐다. 5세기 후반 만들어진 쪽샘 44호 무덤은 전형적인 신라시대 돌무지덧널무덤 구조를 띤 고분이다. 나무로 짠 곽 주변에 돌을 쌓고, 그 위로 흙을 덮어 놓은 형태다. 규모는 동서로 30.8m, 남북으로 23.1m다. 130cm 남짓의 10대 왕실 공주가 묻힌 것으로 추정되는 무덤에서 780점의 유물이 출토됐다.

그 가운데도 관심을 끄는 것은 영롱한 청록빛의 물방울 모양의 장식물이다. 비단벌레 껍질로 만든 이 장식은 황남대총과 천마총 등 최상위 계층인 왕족들의 무덤에서만 발견된 유물이었다. 학계에서는 그동안 비단벌레 꽃잎장식이 어떤 용도로 사용됐는지는 밝혀내지 못했는데 이번에 그 비밀을 밝혀냈다.

쪽샘 44호분에서 출토된 '비단벌레 꽃잎장식 죽제 직물 말다래' 재현품. 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 산하 국립경주문화연구소는 4일 경북 경주 서라벌문화회관에서 발굴 성과시사회를 열고 44호 무덤에서 ‘비단벌레 꽃잎장식 직물 말다래’를 최초로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연구소는 비단벌레 장식이 ‘죽제(竹製) 직물 말다래’에 부착됐다는 점을 처음 확인했다. 말다래는 말의 안장 밑에 길게 늘어뜨린 직물을 뜻한다. 지금껏 신라 고분에서 확인된 말다래는 ‘천마도’ 장식을 모티브로 해왔지만, 비단벌레를 꽃잎 모양으로 장식한 형식이 발견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44호 무덤의 말다래는 대나무살을 엮어서 만든 바탕 틀 안쪽에 직물을 덧대고, 그 위에 비단벌레 장식을 십(十)자로 배치한 모양이다.

말다래뿐만 아니다. 무덤 주인공의 생활양식과 신분에 대한 정보도 추가로 드러났다. 피장자 머리맡에 놓인 금동관 주변에서 발견된 유기물 다발의 과학적 분석 결과 사람의 머리카락으로 판명됐다. 머리카락과 수직으로 배치된 직물의 흔적을 통해 머리를 묶거나 땋아서 꾸민 당대의 복식을 짐작할 수 있다.

쪽샘 44호분에서 출토된 유기물 다발. 검사 결과 인간의 머리카락으로 드러났다. 문화재청 제공

썩어 없어지기 쉬운 유기질 직물들을 수습한 것도 중요한 성과다. 그동안 기록으로만 알려졌던 ‘삼색경금(三色經錦)’의 실물이 처음 발견됐다. 홍색, 자색, 황색 세 가지의 색실을 사용해 무늬를 그려낸 직물이다. 이 중 홍색과 자색은 각각 염색약의 원료가 꼭두서니(주황색 뿌리를 가진 여러해살이 덩굴풀)와 자초(말린 지치 뿌리)란 사실도 드러났다. 신라 무덤에서 찾아낸 신발에 동물의 가죽과 실의 흔적을 발견한 것도 이번이 유일한 사례다. 피장자의 머리맡에서 발견된 금동신발 안쪽에서 산양의 털로 실을 만들고, 그 실을 이용해 피혁을 꿰맨 흔적이 처음 확인됐다.

4일 최응천 문화재청장이 경주 서라벌문화회관에서 열린 쪽샘 44호 무덤 발굴조사 성과시사회에서 부장품들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문화재청 제공.


최응천 문화재청장은 “이번에 새롭게 발견된 호화로운 장신구들은 당시의 뛰어난 금속공예 수준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이어 “훼손되기 쉬운 유기물들을 정밀 발굴조사를 통해 다량으로 수습한 것도 귀중한 성과”라며 “고대 삼국시대의 복식을 연구하기 위한 귀중한 참고 자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경주=안시욱 기자 siook95@hankyung.com


댓글 (0) 
    작성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 작성
    jypk@v-w.co.kr

    신고하기

    신고사유 선택 [필수]

                  허위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 주세요.

                  댓글 운영 정책

                  아르떼에서는 다음과 같이 댓글 서비스를 관리 및 운영하고 있습니다.
                  댓글 서비스 이용 중에 이용약관 및 운영정책을 위반할 경우, 사전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댓글 운영정책은 이용약관에 기반하고 있으며 기타 사항은 고객센터 문의를 이용해 주시길 바랍니다.

                  1. 서비스 이용 제한 사유
                  - 회사 또는 제3자의 명예를 훼손하는 경우
                  - 회사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 외설 또는 폭력적인 메시지, 기타 관계법령 및 공서양속에 반하는 경우
                  - 제3자에게 피해가 발생하였거나 피해가 예상되는 경우
                  - 댓글 도배 등 부정한 용도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 범죄행위를 목적으로 하거나 범죄행위를 교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 기타 관계 법령을 위배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2. 회원 댓글 기능
                  가. 댓글 신고
                  - 회원은 다른 회원의 댓글을 신고할 수 있습니다. 신고된 댓글은 신고한 회원에 한해서 숨김 처리되며 이는 복구할 수 없습니다.
                  - 신고된 댓글은 이용약관 및 운영정책에 따라 처리됩니다.

                  나. 댓글 삭제
                  - 회원은 본인이 작성한 댓글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 삭제된 댓글의 답글은 작성자 또는 회사가 별도로 삭제하기 전까지 삭제되지 않습니다.
                  다. 회원 차단
                  - 회원은 다른 회원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차단한 회원의 댓글및 답글은 숨김처리되며 차단해제도 가능합니다.

                  3. 서비스 이용 제한
                  - 회사는 비방 및 욕설, 광고 등 댓글에 부적합한 단어의 이용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 서비스 이용 제한은 누적 위반 횟수를 우선하여 처리하나 사안의 심각성에 따라 처리 기준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회사는 회원의 IP 및 ID를 일시 또는 영구적으로 차단하여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회사는 회원의 댓글을 삭제하여 게재된 댓글의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회원은 ‘나의 댓글 관리’에서 누적 위반 횟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시계 주요 동향

                  • 韓 회화 거장의 '영원한 집'…맨해튼에서 다시 숨 쉬다

                    2025. 05. 14
                    1.1k0
                  • LA의 '표백된 색'을 사랑하는 스티븐 해링턴, 살아 움직이는 멜로와 룰루

                    2025. 05. 14
                    2940
                  • 피카소 그림 앞 '굴 까주는 남자'·뉴요커들 오픈런한 250달러 접시!

                    2025. 05. 14
                    4930

                  arte

                  신라 공주 무덤서 나온 '비단벌레 장식'의 비밀 밝혀졌다

                  안시욱 2023-07-04

                  쪽샘 44호분 발굴조사 성과발표회
                  5세기 후반 신라 공주 무덤으로 추정
                  '비단벌레 꽃잎장식 직물 말다래' 처음 발견돼
                  경상북도 경주 황오동 쪽샘 44호분 발굴 현장 전경. 안시욱 기자.

                  경주 황오동 쪽샘지구에는 국내 최대 규모의 신라고분군이 자리잡고 있다. 4~6세기 신라 왕족과 귀족의 무덤들이 대량으로 확인되면서 2007년부터 본격적인 조사가 진행됐다. 1000기의 봉분 무덤 가운데서도 세간의 집중을 사로잡은 건 쪽샘 44호 무덤. 약 1500년 전의 신라 공주가 잠들었으리라 추정되는 곳이다.

                  쪽샘 44호분 피장자 상상도. 문화재청 제공.

                  2014년 5월부터 이뤄진 44호 무덤의 정밀 발굴 조사는 9년간의 일정으로 지난달 마무리됐다. 5세기 후반 만들어진 쪽샘 44호 무덤은 전형적인 신라시대 돌무지덧널무덤 구조를 띤 고분이다. 나무로 짠 곽 주변에 돌을 쌓고, 그 위로 흙을 덮어 놓은 형태다. 규모는 동서로 30.8m, 남북으로 23.1m다. 130cm 남짓의 10대 왕실 공주가 묻힌 것으로 추정되는 무덤에서 780점의 유물이 출토됐다.

                  그 가운데도 관심을 끄는 것은 영롱한 청록빛의 물방울 모양의 장식물이다. 비단벌레 껍질로 만든 이 장식은 황남대총과 천마총 등 최상위 계층인 왕족들의 무덤에서만 발견된 유물이었다. 학계에서는 그동안 비단벌레 꽃잎장식이 어떤 용도로 사용됐는지는 밝혀내지 못했는데 이번에 그 비밀을 밝혀냈다.

                  쪽샘 44호분에서 출토된 '비단벌레 꽃잎장식 죽제 직물 말다래' 재현품. 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 산하 국립경주문화연구소는 4일 경북 경주 서라벌문화회관에서 발굴 성과시사회를 열고 44호 무덤에서 ‘비단벌레 꽃잎장식 직물 말다래’를 최초로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연구소는 비단벌레 장식이 ‘죽제(竹製) 직물 말다래’에 부착됐다는 점을 처음 확인했다. 말다래는 말의 안장 밑에 길게 늘어뜨린 직물을 뜻한다. 지금껏 신라 고분에서 확인된 말다래는 ‘천마도’ 장식을 모티브로 해왔지만, 비단벌레를 꽃잎 모양으로 장식한 형식이 발견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44호 무덤의 말다래는 대나무살을 엮어서 만든 바탕 틀 안쪽에 직물을 덧대고, 그 위에 비단벌레 장식을 십(十)자로 배치한 모양이다.

                  말다래뿐만 아니다. 무덤 주인공의 생활양식과 신분에 대한 정보도 추가로 드러났다. 피장자 머리맡에 놓인 금동관 주변에서 발견된 유기물 다발의 과학적 분석 결과 사람의 머리카락으로 판명됐다. 머리카락과 수직으로 배치된 직물의 흔적을 통해 머리를 묶거나 땋아서 꾸민 당대의 복식을 짐작할 수 있다.

                  쪽샘 44호분에서 출토된 유기물 다발. 검사 결과 인간의 머리카락으로 드러났다. 문화재청 제공

                  썩어 없어지기 쉬운 유기질 직물들을 수습한 것도 중요한 성과다. 그동안 기록으로만 알려졌던 ‘삼색경금(三色經錦)’의 실물이 처음 발견됐다. 홍색, 자색, 황색 세 가지의 색실을 사용해 무늬를 그려낸 직물이다. 이 중 홍색과 자색은 각각 염색약의 원료가 꼭두서니(주황색 뿌리를 가진 여러해살이 덩굴풀)와 자초(말린 지치 뿌리)란 사실도 드러났다. 신라 무덤에서 찾아낸 신발에 동물의 가죽과 실의 흔적을 발견한 것도 이번이 유일한 사례다. 피장자의 머리맡에서 발견된 금동신발 안쪽에서 산양의 털로 실을 만들고, 그 실을 이용해 피혁을 꿰맨 흔적이 처음 확인됐다.

                  4일 최응천 문화재청장이 경주 서라벌문화회관에서 열린 쪽샘 44호 무덤 발굴조사 성과시사회에서 부장품들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문화재청 제공.


                  최응천 문화재청장은 “이번에 새롭게 발견된 호화로운 장신구들은 당시의 뛰어난 금속공예 수준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이어 “훼손되기 쉬운 유기물들을 정밀 발굴조사를 통해 다량으로 수습한 것도 귀중한 성과”라며 “고대 삼국시대의 복식을 연구하기 위한 귀중한 참고 자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경주=안시욱 기자 siook95@hankyung.com


                  신고하기

                  신고사유 선택 [필수]

                                허위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 주세요.

                                공유하기

                                부적절한 표현이 감지됩니다.

                                반복 등록 시 본 사이트 이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